2023년 재정공시 결산
- 2025년 재정공시 예산
- 2024년 재정공시 결산
- 2024년 재정공시 예산
- 2023년 재정공시 결산
- 2023년 재정공시 예산
- 2022년 재정공시 결산
- 2022년 재정공시 예산
- 2021년 재정공시 결산
- 2021년 재정공시 예산
- 2020년 재정공시 결산
- 2020년 재정공시 예산
- 2019년 재정공시 결산
- 2019년 재정공시 예산
- 2018년 재정공시 결산
- 2018년 재정공시 예산
- 2017년 재정공시 결산
- 2017년 재정공시 예산
- 2016년 재정공시 결산
- 2016년 재정공시 예산
- 2015년 재정공시 결산
- 2015년 재정공시 예산
- 2014년 재정공시
- 2013년 재정공시
- 2012년 재정공시
- 2011년 재정공시
- 2010년 재정공시
- 2009년 재정공시
- 2008년 재정공시
2023년 부산광역시 동구 재정공시(결산)
- 우리 동구의 2022년도 살림규모(자체수입+이전재원+지방채 및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는 5,088억원으로, 전년대비 530억원이 증가하였습니다.
- 자체수입(지방세 및 세외수입)은 652억원이며, 주민 1인당 연간 지방세 부담액은 55만원입니다.
- 이전재원(지방교부세, 조정교부금, 보조금)은 3,339억원입니다.
- 지방채,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는 1,097억원입니다.
- 2022년말 기준으로 우리 구의 채무 및 주민 1인당 지방채무는 없습니다.
- 공유재산은 ’22년도에 다목적야유회장 진입도로 개설 토지 매입 등 133건(168억원)을 취득하고, 일반재산 등 7건(4억원)을 매각하여,
현재는 총 4,559억원 규모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공유재산은 ’22년도에 다목적야유회장 진입도로 개설 토지 매입 등 133건(168억원)을 취득하고, 일반재산 등 7건(4억원)을 매각하여,
- 우리 구를 유형 지방자치단체의 평균과 살림살이를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우리 구를 유형 지방자치단체의 평균과 살림살이를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유형 지방자치단체 유형 : 광역Ⅱ유형
- 우리 구의 2022년 살림규모는 유형 지방자치단체 평균액(6,903억원)보다 1,815억원이 적습니다.
- 자체수입은 유형 지방자치단체 평균액(773억원)보다 121억원이 적으며, 이전재원은 유형 지방자치단체 평균액 (4,451억원)보다 1,112억원 적습니다.
- 채무액은 유형 지방자치단체 평균액(4억원)보다 4억원 적고, 구의 1인당 채무액은 유형 지방자치단체 평균액(2,174원)보다 2,174원 적습니다.
- 공유재산은 유형 지방자치단체 평균액(6,474억원)과 비교하여 1,915억원이 적습니다.
- 이러한 전반적인 상황으로 볼 때,우리 구의 재정은 유사 지방자치단체 평균 규모에 비해 살림 규모가 작으나, 채무는 없어 건전한 예산 운영에 노력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세입 확대를 위한 지방세 및 세외수입 징수 강화를 통해 재정 건정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담 당 자: 기획감사실 신유진(051-440-4024)
1. 공통공시 총괄 |
![]() |
---|---|
2. 결산규모 |
![]() |
3. 재정여건 |
![]() |
4. 부채/채무/채권 |
![]() |
5. 주요예산집행결과 |
![]() |
6. 지방세/세외수입 |
![]() |
7. 복지/민간지원 |
![]() |
8. 공유재산 및 물품 / 지방공공기관 |
![]() |
9. 재정성과 / 평가 |
![]() |
10. 주요투자사업 추진현황 |
![]() |
【별지1】 시책업무추진비 집행내역 |
![]() |
【별지2】 2022회계연도 개최 모든 행사축제 |
![]() |
【별지3】 2022년 행사·축제 원가회계정보 |
![]() |
【별지4】 행사축제별 연도별비교 |
![]() |
특수공시 |
![]() |
참고1) 유사 자치단체 유형 분류 |
![]() |
---|---|
참고2) 용어해설 |
![]()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