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현황

위치

행정구역상의 위치

동구는 부산광역시 16개구·군 가운데 하나로 부산 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해 왔다. 남쪽으로는 중구의 북부와 접하고 북쪽으로는 부산진구, 동쪽으로는 남구와 인접하고 또 부산의 북항에 면하여 있으며 서쪽으로는 수정산과 구봉산을 등에 업고 있다. 법정동은 초량동, 수정동, 좌천동, 범일동이며, 행정동은 초량1·2·3·4·6동, 수정1·2·3·4·5동, 좌천1·4동, 범일1·2·4·5·6동으로 나누어져 있었으나 2008년 1월 1일부로 초량4·6동이 초량6동으로, 수정2·3동이 수정2동으로, 범일4·6동이 범일4동으로 통·폐합되고 2016년 1월 1일부로 범일1·4동이 범일1동으로 통·폐합되어 4개의 법정동과 12개의 행정동으로 나누어 관할하고 있다.

지리적 위치

동구는 한반도의 남단인 부산광역시의 중앙에 위치하여 부산의 중심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동구의 동서남북 가장 끝이 되는 지점을 경도와 위도로 표시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
지리적 위치(동구의 위치,구청 소재지,방위,위치,지점-위도,경도)에 대한 설명 표입니다
동구의 위치
구청소재지 방위 위치 지점
경도 위도
부산광역시 동구 구청로1(수정동) 동 단 범일동 1651 동경 129˚ 03′56″″ 북위 35˚ 08′07″
서 단 초량동 산60 동경 129˚ 01′25″ 북위 35˚ 06′59″
남 단 초량동 1185-5 동경 129˚ 02′26″ 북위 35˚ 06′21″
북 단 범일동 1541 동경 129˚ 02′26″ 북위 35˚ 08′37″

지리적특성

동구는 시역의 중앙에 위치하여 동쪽은 동천을 경계로 남구, 동북쪽은 수정산 · 구봉산을 경계로 부산진구·서구와 서쪽은 영주천을 경계로 중구와 접하고 있으며 동남으로 길게 뻗쳐있다.
원래 우리구는 지세가 해안을 끼는 배산 임해의 지형을 형성하며 대부분 경사 지대로 평탄한 시가지를 형성할수 없어 주로 초량천, 부산천, 호계천등 하천과 구봉산, 수정산 골짜기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왔으며, 시가지의 1/3정도는 일제 시대(1909~1913년) 해안매립으로 조성되었다.

면적

기준일 : 2020.12.31.

면적 - 행정구역 면적(전체면적,용도별구성비)에 대한 설명 표입니다
전체면적 용도별구성비
9.86㎢
(시의 1.3%)
대지 36.6%, 임야 27.7%, 도로 15.1%, 잡종지 8.0%, 철도용지 5.8%, 학교용지 2.1%, 기타 4.7%

주택

41,614호(보급률 105.8%) (2020.12.31.기준)

(단위: 호)

주택 - 계,단독주택,공동주택(아파트, 연립, 다세대),비거주용 건물내 주택에 대한 설명 표입니다
단독주택 공동주택 비거주용
건물내 주택
아파트 연립 다세대
42,072 21,873 13,867 1,076 4,672 584

도로

99.422km(2020.12.31.기준)

(단위: Km)

도로 - 합계(연장, 포장, 포장율), 일반국도(연장, 포장, 포장율), 광역시도/구도(연장, 포장, 포장율)에 대한 설명 표입니다
합계 일반국도 광역시도/구도
연장 포장 포장율 연장 포장 포장율 연장 포장 포장율
99.422 99.422 100 3.9 3.9 100 95.522 95.522 100

지형

동구는 부산의 관문적 위치에 입지하고 있으나 지형이 배산임해의 경사지대로 산지의 과다와 좁은 평지로 구성되어 가용 면적이 제한적이어서, 초량동, 수정동, 좌천동, 범일동 등 대부분의 주거지는 수정산과 구봉산의 산기슭 등 고지대에 형성되고 있다.

지세

부산 동구의 지세 형성 골격을 보면 그 근간이 태백산맥이다. 태백산맥은 금강산, 설악산, 오대산 등 명산을 거느리고 1,300리나 뻗어 내려와 모든 정기를 동구에 위치한 구봉산과 수정산에 집중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수정산과 구봉산을 등에 업고 천혜의 항만을 포용하고 있는 동구는 진취적인 기세로 도약을 선도하는 선택된 땅이라고 할 수 있다.

산과 하천, 도로

동구의 산림은 총 277ha로 부산시의 다른 구에 비해 적은 편이기는 하지만 산지에 난 등산로의 규모나 시설은 잘 정비되어 있다. 총 16개소의 등산로는 폭1~2m이며 총 연장은 무려 24.82km에 달한다. 매년 공공근로사업이나 숲가꾸기 사업을 통하여 등산로 주변의 수목 식재나 편의시설물 설치, 야생초화 식재 등을 통해, 보다 이용이 편리하고 접근이 용이한 산지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속적 사업 추진 및 관리를 통해 진정한 구민의 쉼터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기후

기 온

우리 고장의 2020년 연평균 기온은 15.2℃로서 1월에 6.4℃로 가장 낮고, 8월에 27.2℃로 가장 높다. 겨울철 가장 낮은 기온으로 12월에 –8.0℃를 기록했으며, 여름철에 가장 높은 기온은 8월에 33.2℃를 기록했다.

습 도

우리 고장의 2020년 연평균 습도는 64.0%로 저습한 편이다. 여름철에는 80%이상으로 대단히 다습(多濕)하나, 겨울철에는 저습(低濕)하여 12월에 43%로 가장 낮다. 겨울철의 극단적인 저습은 대륙성 고기압과 부산지방 주변 산악의 지형적 영향에 기인하고 있다.

강 우

우리 고장의 연평균 강수량은 2020년 2281.6㎜로 제주, 울릉도 다음으로 많으며 우리나라의 삼다(三多) 강우 지역에 속한다. 1년 중 6, 7, 8, 9월에 전체의 77%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6~8월에 비가 가장 많다. 6~8월에 비가 많은 것은 장마전선에 기인하며 9월에 많은 것은 추운 전선과 태풍의 영향이고 8월에는 소나기전선 등의 영향이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폼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기획감사실
  • 문의전화 051-440-4011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