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 이전
우리구 지역은, 일찍부터 항만을 끼고 발전한 관계로 외국과의 교역이 끊이지 않았고 상업이 발달했던 점으로 미루어 아득한 옛날부터
사람이 살았을 것이라 여겨지며, 삼한시대에는 변한, 삼국시대에는 거칠산국, 신라·고려시대에는 울주군, 조선시대에는 동래부 동평면에 속했다.
사람이 살았을 것이라 여겨지며, 삼한시대에는 변한, 삼국시대에는 거칠산국, 신라·고려시대에는 울주군, 조선시대에는 동래부 동평면에 속했다.
新石器時代 | 漁勞, 狩獵, 原始農耕 (約 3,000年前) |
---|---|
三韓時代 | 변한에 소속 되었다가 금관가야의 지배를 받다가 거칠산국에 들어감 |
三國時代 | 신라영역에 편입, 거칠산국 설치 그 영현인 대증현(후에 동평현)에 소속 |
新羅時代 | 거칠산국을 합병 - 거칠산군설치, 가락국을 합병 - 금관군설치, 거칠산군을 동래군으로 개칭 |
後三國時代 | 일시 후백제 지배하에 들어감 |
高麗時代 | 동래군을 강격하여 현으로 만들어 울주군에 소속 그 속현이던 동평현을 양주군에 소속 |
朝鮮時代 |
중종14년 경상도 동래군 동래현에 소속, 명종 2년(1547) 동래도호부로 승격, 선조25년(1592) 동래현으로 승격, 영조16년(1740) 동래부 동평면에 소속 * 당시 동평면은 현 부산진구 당감동, 가야동, 동구일대지역 동래부는 읍내면, 동면, 남면, 남촌면, 동평면, 서면, 북면의 7개면 22개동 79리이고 인구는 19,099이였으며, 동평면은 부현리, 감물리, 당리, 미요리, 가야리, 부산역내리, 범천리, 범천2리, 좌백천1리, 두모포리, 해정리 등 12개리였음. |
1910. 01. 01 | 동래군 부산면에 소속 (초량동은 사중면에 편입) 당시 부산면은 범일1동, 범일2동, 좌천1,2동, 좌천동, 수정동, 동천동, 로하동, 서부동, 산수동 등 10개동이었음 |
1913. 12. 01 | 동래군 부산면, 사중면은 부산부에 편입 |
1914. 04. 01 | 부산부 부산면에 소속 (범1동, 범2동, 좌1동, 좌2동, 좌천동, 동천동, 수정동, 두포동, 산수동, 서부동) |
1949. 08. 15 | 부산부를 부산시로 개칭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