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등록

장애인이란?

  • 장애인은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자를 말함.

장애유형

  • 신체적장애 : 지체(절단, 관절, 기능, 척추, 변형), 뇌병변, 시각, 청각(청력,평형), 언어, 안면, 신장, 심장, 호흡기, 간, 장루‧요루, 뇌전증
  • 정신적장애 : 발달장애(지적, 자폐성), 정신

등록절차

  • 장애인등록 상담 및 신청(읍면동)
    주소지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에 본인이 신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다만, 19세 미만의 아동, 거동이 불가능한 독거장애인의 경우 등 본인이 등록 신청을 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법정대리인과 보호자가 신청을 대행할 수 있음.
  • 신청을 원하는 자는 장애등급심사에 필요한 구비서류를 의료기관에서 발급받아 동 행정복지센터에 제출
  • 장애등급심사 구비서류 접수 및 장애등급심사 요청(읍면동)
  • 장애심사, 등급결정, 통보(국민연금공단)
  • 심사결과 확인 및 장애인등록(읍면동)
    ※ 장애인등록 후, 복지카드(장애인등록증) 발급소요기간은 약 2주 

장애정도 심사용 진단서 발급비 지원

  • 기초생활수급자로서 신규 신청자 및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중 의무재판정 대상자에 한하여 지원함.
    (장애등급 조정신청, 이의신청의 경우 지원불가)
  • 지원내용 : 지적‧자폐성 장애, 정신장애 4만원, 기타 장애 1만5천원(지원내용 내에서 지원하고 추가비용은 본인 부담)
  • 대상자가 직접 청구할 경우, 영수증과 통장사본을 행정복지센터에 제출

장애정도 심사 검사비 지원

  • 기초생활수급자로서 신규 신청자 및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중 의무재판정 대상자에 한하여 지원함.
    (장애등급 조정신청, 이의신청의 경우 지원불가)
  • 지원내용 : 총 10만원 한도내에서 실비 지원
  • 대상자가 직접 청구할 경우, 영수증과 통장사본을 행정복지센터에 제출

등록장애인현황 : 5,938명(2025. 1월 기준)

장애인현황을 알려드립니다.
지체 시각 청각 언어 지적 뇌병변 자폐성 정신
2,507 597 1,019 52 384 573 53 280
신장 심장 호흡기 안면 장루·요루 뇌전증
308 10 38 38 8 48 23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폼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경제복지국 복지정책과
  • 문의전화 051-440-4331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