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활사업

목 적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저소득층에게 자활사업을 통해 근로능력 있는 저소득층이 자활할 수 있도록 자활능력 배양, 기능 습득 지원 및 근로기회를 제공

지원대상

  • 조건부수급자 : 자활사업 참여를 조건으로 생계급여를 지급받는 수급자
  • 자활급여특례자 : 수급자가 자활근로, 자활기업 등 자활사업 및 취업 성공패키지(고용노동부)에 참가하여 발생한 소득으로 인하여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의 40%를 초과한 자
  • 일반수급자 : 조건부과 · 제시유예자, 의료·주거·교육급여수급(권자)중 참여 희망자
  • 특례수급가구의 가구원 : 의료급여 특례, 이행급여특례가구의 근로능력 있는 가구원 중 자활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자
  • 차상위자 : 근로능력이 있고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50%이하인 사람 중 비수급권자
  • 근로능력이 있는 시설수급자 : 시설수급자 중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내 용

  • 자활사업대상자를 자활능력 정도에 따라 취업 및 비취업대상자로 구분하여 근로능력 및 욕구에 맞는 자활 프로그램 제공
  • 취업대상자는 노동부 취업지원 프로그램(국민취업지원제도)에 참여
  • 근로능력이 상대적으로 미약한 비취업대상자는 복지부에서 시행하는 자활사업에 참여
  • 빈곤층으로 전락할 위험이 크고 근로능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차상위 계층에 대하여도 자활사업 실시

종 류

  • 자활근로사업 : 부산동구지역자활센터 우리동네호두과자, 우리동네빨래방, 동미락 푸드, 편의점 사업, 전자부품 조립사업 등 • 15개 사업
  • 구직영사업 : 동주민센터, 복지관 등 46개소
  • 자활기업 : 드림이엔지, 나누리창호공사, 희망나르미 등 5개 자활기업

신청방법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서비스를 신청합니다.

지원절차

    1 . 초기상담 및 서비스 신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초기상담을 하고 서비스 신청

 

    2. 대상자 확정 자활지원계획 수립

          시/군/구청에서 대상자를 확정하고 자활지원계획을 수립

 

    3. 자활 실시

          지역자활센터 등 자활근로 수행기관에서 실시하는 자활사업에 참여

인건비

<2025년도 자활급여 지급기준(원/인·일)>
2025년도 자활급여 지급기준(원/인·일)에 대한 표 - 구분, 자활사업유형별 1일 인건비(원)(계, 급여, 실비), 비고순으로 내용을 제공합니다.
구분 시장진입형/기술・자격자 사회서비스형/기술・자격자 근로유지형
지급액계 64,220/68,220 56,210/60,210 32,980
급여단가 60,220/64,220 52,210/56,210 28,980
실 비 4,000 4,000 4,000
표준소득액(월) 1,565,720 1,357,460 753,480
비 고 1일 8시간, 주 5일 1일 5시간, 주 5일
2025년도 자활급여 지급기준(원/인·일)에 대한 표 - 구분, 자활사업유형별 1일 인건비(원)(계, 급여, 실비), 비고순으로 내용을 제공합니다.

근거법령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1조, 제7조, 제15조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시행령 제20조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시행규칙 제25조, 제26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폼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경제복지국 생활보장과
  • 문의전화 051-440-4342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