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보조기기
대상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으로서 지체·뇌병변·시각·청각·심장·호흡·지적·자폐성·언어 장애인
교부내용
- 욕창방지용 방석 및 커버, 와상용 욕창예방 보조기구, 장애인용 의복 등 : 뇌병변, 심장 장애인(중증)
- 휴대용경사로, 보행자, 목욕의자 등 : 지체, 뇌병변 장애인
- 장애인이동변기, 음식(음료) 섭취용 보조기구, 기립훈련기 등 : 지체, 뇌병변 장애인(중증)
- 음성유도장치, 음성시계, 독서확대기, 문자판독기, 녹음 및 재생장치:시각장애인
- 시각신호표시기, 진동시계, 헤드폰(청취증폭기):청각장애인
신청장소 :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교부우선 순위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수급자
- 1가구에 2인 이상의 장애인이 거주하는 자
- 재가장애인
- 당해사업으로 교부받은지 더 오래된 자
지원품목
- 교부품목별 장애유형에 따라 지원기준에 적합한 보조기기 44개 품목
교부절차
동행정복지센터-장애인보조기기 신청 ▶ 구·군 – 자격기준 검토 및 종합조사 의뢰 ▶ 국민연금공단 – 서비스종합조사 및 결과통보 ▶ 보조기기센터 – 보조기기 지급 및 사후관리
장애인보조기기 및 의료급여 보조기기 차이점
장애인보조기기 교부사업 | 의료급여 보조기기 교부사업 | |
---|---|---|
지원대상 | · 장애종별 지체·뇌병변·시각·청각·심장·호흡·자폐성·지적 · 소득수준별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 의료급여 수급자 중 등록 장애인 |
지원품목 | · 장애유형별 44가지의 보조기구 지원 | · 의지·보조기, 보청기, 맞춤형 교정용신발, 전동휠체어, 전동스쿠터, 수동휠체어, 욕창방지방석, 욕창예방매트리스 등 |
선정기준 | · 구,군 서류 접수 후 국민연금 공단 최소 적격기준 및 보조기기센터 교부평가 결정 | · 보장기관(구,군)에서 장애등록여부, 처방 전문의 자격 부합여부, 지급 대상자 기준 등에 적합한지 판단 후 교부 결정. |
담당부서 | · 복지정책과 장애인복지계(☎440-4336) | · 생활보장과 생활보장계(☎440-4326) |
지원품목 사진(예시)
장애 유형 |
품목 | 지원 기준액 |
사진 | 설명 | 대상 |
---|---|---|---|---|---|
지체, 뇌병변 |
롤레이터(보행차) | 25만원 | ![]() |
체간 균형능력이 저하된 경우 |
균형 문제 등으로 혼자 걷기가 어려운 분 |
좌석형 보행차 | 37만원 | ![]() |
|||
탁자형 보행차 | 40만원 | ![]() |
|||
음식섭취 보조기기(음식 및 음료 섭취용 보조기기) |
5만원 | ![]() |
그립이 어려운 경우 팔의 움직임으로 독립적인 식사 가능 |
손의 근력이나 관절 가동 범위 및 쥐기 능력이 떨어져 일반 도구로는 식사가 어려운 분 |
|
음식섭취 보조기기 (식사도구(칼-포크), 젓가락 및 빨대) |
![]() |
팔의 굽힘이 어렵거나 손의 움직임이 어려운 경우 사용하며 독립적인 식사 및 음료섭취가능 |
|||
음식섭취 보조기기 (머그컵, 유리컵, 컵 및 받침접시) |
![]() |
쥐기 능력이 어려운 경우 사용하여 독립적인 잡기가 가능 |
|||
음식섭취 보조기기 (접시 및 그릇) |
![]() |
한손으로 음식을 모으기 어려울 때 사용하며, 홈이 파져있어 음식 담기가 편리함 |
|||
음식섭취 보조기기 (음식보호대) |
![]() |
수저에 음식담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사용 |
|||
기립틀 및 기립을 위한 지지대(기립훈련기) ※ 19세 이상에 한함 | 170만원 | ![]() |
기립자세 유지를 도와 기립근 근력을 강화하여 자세 변형 완화 | 혼자 선 자세 유지가 어려운 분 | |
목욕의자 | 60만원 | ![]() |
신체적 균형능력 저하 및 기립자세유지의 제한으로 인해 앉아서 목욕하는 것을 지원 | 목욕이나 샤워를 하는 동안 자세 유지가 어려운 분 |
|
경사로 (휴대용 경사로) |
53만원 | ![]() |
단차의 극복이 어려운 경우 설치하여 진입의 접근성을 향상 | 이동보조기기 사용시 단차 해소가 필요한 분 |
|
이동변기 | 60만원 | ![]() |
독립적인 이동이 어려워 배변활동이 활동이 어려움을 해소하고 균형유지가 어려워 일반변기 사용이 어려울 때 활용 |
혼자 앉은 자세 균형 유지가 어렵거나 배뇨, 배변활동 시 지원이 필요한 분 |
|
독립형 변기 팔 지지대 및 등지지대 | 25만원 | ![]() |
변기 옮겨 앉기를 도와 장애인 및 노인 등의 일상생활 지원 |
앉을 때 균형잡기의 어려운 분 |
|
환경 제어 장치 | 40만원 | ![]() |
원격으로 환경을 제어하는 장치로 일상생활 지원 |
손을 뻗거나 손 조작이 어려운 분 |
|
지체, 뇌병변 |
지지대 및 손잡이 (안전손잡이) | 20만원 | ![]() |
이동하거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몸을 올바르게 지지하도록 도와주는 장치 |
신체적인 균형 유지가 어려워 앉거나 일어서기에 지원이 필요한 분 |
유모차형 이동보조기기 | 150만원 | ![]() |
자세 일부지지 및 보조인의 도움으로 추진하여 이동 가능 |
수동휠체어의 기능적 조작 및 추진 시 보조인의 도움이 필요한 분 |
|
바닥 특수 앉기 자세유지용 장치(피더시트) |
130만원 | ![]() |
앉기 자세 유지를 지원하여 학습 및 식사 등 일상생활활동 증진 |
머리 가누기, 체간 조절이 어려운 분 |
|
목욕용 미끄럼방지용품 | 5만원 | ![]() |
욕실 및 화장실 등의 미끄러운 바닥에서 사용하여 낙상 예방 |
이동 시 보조인 또는 안전손잡이 등의 도움이 필요한 분 |
|
차량 내 착석을 위한 좌석과 방석, 액세서리, 개조용품 (장애인용 카시트) |
240만원 | ![]() |
차량 내 안전한 탑승과 자세 지원 및 사고예방 | 차량으로 이동 시 체간 고정이 어려운 분 |
|
수동 조작용 팔 지지대 (책상 고정형) |
290만원 | ![]() |
컴퓨터 활동 및 식사활동 등 수동활동 동안 아래팔을 지지 |
컴퓨터 활동 및 식사 활동 등 수동 활동 동안 아래팔 지지가 필요한 분 |
|
전동칫솔 ※ 흡입 기능이 있는 칫솔에 한함 |
35만원 | ![]() |
구강 세척 후 세척물을 흡입하여 구강관리 지원 | 양칫물을 스스로 뱉지 못하는 분 | |
지체 ,뇌병변, 심장 , 호흡 |
미끄럼 및 회전을 위한 보조기기 | 35만원 | ![]() |
손쉽게 휠체어 및 침대 등으로 옮겨 앉기를 지원 |
수동 및 전동휠체어 등으로 옮겨 앉기에 어려운 분 |
의류 및 신발 (장애인용 의복) |
15만원 | ![]() |
장애인이나 휠체어 사용자가 입고 벗기에 용이하도록 개조된 의류 |
장애인이나 휠체어 사용자가 입고 벗기에 용이하도록 개조된 의류가 필요한 분 |
|
휠체어 액세서리 | 10만원 | ![]() |
휠체어 사용자의 휠체어 사용 편의성 향상과 넘어짐을 예방하고 전동휠체어 등의 조종 장치를 보호 |
휠체어 사용자 | |
침대 및 탈착식 침대 판/ 전동조절식 매트리스 지지단 (전동침대) |
120만원 | ![]() |
사용자나 보조인이 전동으로 높이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구성된 매트리스 지지단이 있는 침대 |
누운 상태에서 스스로 일어나 앉기가 어려운 분 |
|
소변수집장치 | 120만원 | ![]() |
자동소변흡수장치를 통해 자가 소변처리 가능 |
독립적인 소변활동이 어려운 분 |
|
개인 비상 경보시스템 (낙상알람기) | 93만원 | ![]() |
낙상 시 신속한 대처를 위해 보호자에게 알람 신호를 제공 |
신체적인 균형 유지가 어려워 지원이 필요한 분 |
|
독서용 탁자, 책상 및 기립형 책상 | 100만원 | ![]() |
휠체어 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 학습, 독서 및 기타활동 등의 접근성 제고 |
일반적인 책상 이용 접근의 어려운 분 | |
지체, 뇌병변, 지적, 자폐성 | 기억 지원 보조기기 | 10만원 | ![]() |
약 복용 알림을 통해 규칙적인 약복용 및 과다복용 예방 |
규칙적인(정해진 시간) 약 복용의 지원이 필요한 분 |
뇌병변, 지적, 자폐성, 청각, 언어 | 대화용장치 | 89만원 | ![]() |
발성 및 발화 제약으로 인한 독립적 표현 및 소통 지원 |
의사소통의 지원이 필요한 분 |
뇌병변 | 전자기기 작동 및 제어를 위한 보조기기용 액세서리(스위치) |
16만원 | ![]() |
스위치를 이용하여 대화용 장치의 필요한 어휘 등 선택 가능 |
대화용 장치의 표현하고자 하는 단어 등을 손으로 누르기 어려운 분 |
심장 | 욕창예방 방석 | 35만원 | ![]() |
체압분산 및 습기를 경감하여 좌석면의 욕창 방지 |
스스로 자세를 바꾸지 못하고 장시간 앉아있는 분 |
욕창예방 매트리스 | 38만원 | ![]() |
체압분산 및 습기를 경감하여 등받이면의 욕창 방지 | 스스로 자세를 바꾸지 못하고 장시간 누워있는 분 | |
시각 | 음성유도장치 (음향신호기리모컨) |
3만원 | ![]() |
시각장애인용 음성 유도기 및 음향신호기를 무선으로 작동시킴 |
소리를 통해 정보 인지가 가능한 분 |
음성시계 | 5만원 | ![]() |
버튼을 눌러 시간을 청각신호로 나타냄 | ||
영상 확대 시스템 (독서확대기) |
270만원 | ![]() |
시각정보를 확대 할 수 있는 보조기기 | 사물 및 인쇄물의 배율, 색상, 밝기 등을 조절하면 정보 인지가 가능한 분 |
|
OCR장치 및 OCR소프트웨어 | 80만원 | ![]() |
문자인식기능으로 인쇄물의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 |
소리를 통해 정보 인지가 가능한 분 |
|
키보드 (모바일제어 특수키보드) |
40만원 | ![]() |
시각장애인의 모바일 기능 제어 등 사용 접근성 제고 |
태블릿 PC 등의 키보드를 통해 제어가 필요한 분 |
|
텍스트 음성 변환(TTS) 장치 및 소프트웨어 ※ 소프트웨어에 한함 |
85만원 | ![]() |
컴퓨터 화면내용의 음성출력 기능을 통해 정보접근 향상 | 컴퓨터 및 태블릿 PC 등 음성출력이 필요한 분 |
|
DAISY 플레이어 및 전자책 리더 | 100만원 | ![]() |
MP3, DAISY와 같은 파일로 저장된 책, 신문, 홍보물 등을 음성으로 출력 |
소리를 통해 정보 인지가 가능한 분 | |
청각 | 신호장치 | 58만원 | ![]() |
청각신호를 시각적신호 (빛, 진동)로 변환하여 표시 |
빛(시각) 또는 진동(촉각) 을 통한 정보 인지가 가능한 분 |
진동시계 | 5만원 | ![]() |
청각신호를 대신하여 진동으로 알람 표시 |
진동(촉각)으로 정보 인지가 가능한 분 |
|
소리증폭기 | 80만원 | ![]() |
작은 소리를 크게 증폭시켜 청취 | 작은 소리를 증폭하여 청취가 필요한 분 |
|
다기능 의사소통 시스템 (영상전화기) |
120만원 | ![]() |
영상을 통한 수어, 손말이음 센터 연결 등 지원 |
전화통화 시 영상을 통해 수어 및 손말이음 서비스가 필요한 분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