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버시티 동구 문화관광

코스여행

  • 코스여행
  • 이바구길 따라걷기
  • 부산포개항가도

부산포개항가도

01
부산진성
부산진성 I 시지정 문화유산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은 부산성을 함락하고 자성대왜성을 쌓았고, 전쟁이 끝난 후 조선 수군이 이를 부산진성으로 사용했습니다. 일제강점기 때 성을 철거하여 옛 모습은 거의 사라졌지만 나라를 지킨 선열들과 조선 수군의 5백년 역사를 간직한 곳으로 도심 속에서 과거를 엿볼 수 있는 이색적인 공간입니다.

  • 주소 자성로 99
02
부산진시장
부산진시장

부산진시장의 이름의 유래는 근처에 있던 부산진성에서 유래했습니다. 조선시대 부산진성 서문 밖에서 매달 4일과 9일에 열렸던 부산장에서 시작된 부산진시장은 명실상부한 전국 최대의 혼수용품 및 주단 특화 시장입니다. 인근 골목에는 많은 한식당이 들어서 있어 방문객의 먹거리를 책임집니다.

  • 주소진시장로 24
03
자성로 지하도
자성로 지하도

매축지 마을에는 마을과 바깥 동네를 연결해 주는 두개의 통로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자성로 지하도입니다. 벽면에는 매축지종과 마을사진, 네온사인이 전시되어 있어 다양한 볼거리를 줍니다.

  • 주소성남이로60번길 일원
04
역사 스토리골목
역사 스토리골목

역사 스토리골목에 들어서면 색색의 벽화가 눈길을 붙듭니다. 일제강점기의 역사를 그려낸 벽화, 태극기 포토존 등 한일 역사와 관련된 이야기들이 골목의 면면을 채우고 있습니다.

  • 주소중앙대로455번길 일원
05
정공단
정공단 I 시지정 문화유산

정공단은 임진왜란의 첫 전투인 부산진전투에서 순절한 정발 장군과 그를 따른 군민들을 추모하고자 1766년 부산첨사 이광국이 설치한 제단입니다. 부산 첨사들이 제사를 이어오다가 일제강점기 때 잠깐 폐쇄되었으나 해방 후에 향사계가 재조직되어 제향을 이어나갔습니다. 현재는 사단법인 정공단보존회가 매년 음력 4월 14일 제향을 올리고 있습니다.

  • 주소정공단로 23
06
부산진일신여학교
부산진일신여학교 시지정 문화유산

1905년 호주 선교사에 의해 건립된 양관건물로, 부산·경남 지역 최초의 신여성 교육기관입니다. 1919년 부산·경남 지역에서 처음으로 3·1운동의 깃발을 올렸던 독립운동의 산실이기도합니다. 전국에서 유례가 드물게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근대식 건축물로서 비례와 균형미가 돋보입니다.

  • 주소정공단로17번길 17
07
안용복기념 부산포개항문화관
안용복기념 부산포개항문화관

부산포 개항의 역사를 기억하고 독도를 수호한 안용복 장군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문화관입니다. 안용복 장군이 1, 2차에 걸쳐 일본에 건너갔던 행적과 부산포 왜관, 두모포왜관, 영가대, 정공단 등 동구 유적 자료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 주소증산로 100(독도주차장 5층)
  • 문의051-633-1696
  • 운영시간화~일 09:00~18:00(월요일·공휴일 휴관) / 전망대 상시 개방
08
부산포개항가도 하늘길
부산포개항가도 하늘길

안용복기념 부산포개항문화관에서 증산공원을 잇는 계단은 그 계단 수가 190개에 이르러 주민들 사이에서 '지옥의 계단'이라고 불리던 곳입니다. 이 가파른 계단을 가로질러 올라가는 경사형 엘리베이터는 통유리로 되어 있어 멀리 북항대교와 탁 트인 산복도로 풍경을 감상하기 좋습니다.

  • 주소증산로99번길 일원
  • 운영시간06:00~23:00
09
증산공원
증산공원

중앙광장, 산책로 등 지역 주민들을 위한 체육시설이 조성되어있는 증산공원은 임진왜란 이후 만들어진 왜성의 흔적을 만나볼 수 있으며, 산책로를 따라 부산 명칭의 유래부터 부산진성과 부산진전투에 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 주소성북로36번길 46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폼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미래사업단
  • 문의전화 051-440-4781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