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1동 우리동소개
소개 및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우리 수정1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 동은 동구의 중심으로 초량동과 경계를 이루며 옛 “고관”으로 주거지역으로 형성되었으며
유동인구가 적고 간선로와 망양로간 연계된 경사지로 토착민이 많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수정배수지 부지 내에 위치한 「동구 노인복지관」은 1일 이용객 250명, 프로그램12종 운영, 점심식사제공, 이발.미용서비스 중입니다.
또한 서중학교, 동일중앙초등학교, 경남여자중학교, 시립도서관이 위치하고 있어 교육.문화의 중심지로 자긍심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 수정1동은 "생활중국어", "건강요가교실", "즐거운다욧교실", "하모니카합주", "어린이방송댄스" 등 5개 주민자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지역주민의 문화생활 증진에 힘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또한 서중학교, 동일중앙초등학교, 경남여자중학교, 시립도서관이 위치하고 있어 교육.문화의 중심지로 자긍심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 수정1동은 "생활중국어", "건강요가교실", "즐거운다욧교실", "하모니카합주", "어린이방송댄스" 등 5개 주민자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지역주민의 문화생활 증진에 힘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혁
- 1740년 : 동래부 동평면에 소속
- 1910. 1. 1 : 동래부 부산면(수정동)에 소속
- 1914. 4. 1 : 부산부 부산면에 소속
- 1951. 9. 1 : 부산시 초량 출장소에 소속
- 1957. 1. 1 : 부산시 동구에 소속
- 1963. 1. 1 : 부산직할시로 승격
- 1966. 1. 1 : 동구 수정1동(수정1,2,3,4,5동으로 분동)
- 2008. 1. 1 : 동구 수정2동,3동 통합
유래 및 특성
-
동 특성
우리 동은 동구의 중심으로 초량동과 경계를 이루며 옛 “고관”으로 주거지 역으로 형성되었으며, 유동인구가 적고 간선로와 망양로간 연계된 경사지로 토착민이 많이 거주하고 있음 수정배수지 부지내에 위치한 「동구 노인복지관」은 1일 이용객 250명의 노인들로 프로그램12종 운영, 점심식사제공, 이발.미용서비스 등을 하고 있고 서중학교, 중앙.동일초등학교, 시립도서관이 위치하고 있어 교육.문화의 중심지로 자긍심을 갖고 있습니다.
-
지명유래
수정동(水晶洞)은 조선시대에 동래부(東萊府) 동평면(東平面) 두모포리(豆毛浦里)라 불렀다. 두모포리는 '동국여지승람'의 기장현(機張縣) 관방조의 기록을 미루어 알 수 있듯이, 원래 기장에 있었지만 중종 5년(1510) 삼포왜란으로 부산포의 방위를 보다 강화화해야 할 필요가 있게되자, 울산의 개운포와 함께 부산진 부근에 이설하였던 것이다. 이때 그 지명도 그대로 두모포리로 쓰이게 되었다. 두모포는 「두메게」에 나온 말로서 깊은 산속에 있는 포구를 의미하였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1614년 우리나라와 일본사이에 국교가 회복되자 두모포에 왜관이 개설되어 70년간 존속하다가 1678년 용두산일대로 옮겨졌다. 용두산 일대의 왜관을 신왜관(新倭館)이라 한데 대하여 두모포왜관은 구왜관(舊倭館), 고왜관(古倭館)이라 하였고 약칭하여 구관, 또는 고관이라 불렀다. 두모포왜관이 있었던 자리는 황토가 적고 지면에 모래가 많아서 비가 와도 신발에 흙이 묻지 않았으며 또 이곳에 맑은 샘이 솟아나 는 곳이어서 수정동(水晶洞)이라 하였다는 설이 있다. 한편 지금의 수정동, 초량동 뒤를 병풍처럼 감싸고 있는 산을 통칭하여 사병산(四屛山)이라하였는데 특히 수정동 뒷산은 마이성(馬餌城, 馬里城)이라 불렀다. 이성의 정상에는 큰 분지가 있는데 이 일대는 조금만 파도 크고 작은 수정이 나왔다고 한다. 때문에 이산을 수정산이라 부르게 되었고 이 산아래 마을이름도 수정동이라 호칭하게 되었다 한다.
기본현황
항목 | 내용 | 항목 | 내용 |
---|---|---|---|
면적 | 0.22㎢ | 세대수 | 2,043 |
남자인구 | 2,078 | 여자인구 | 2,196 |
공무원수 | 8 | 통반 | 9개통 50개반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