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지 소개

  • 홈
  • 사업지 소개
  • 도시재생 사업소개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페이스북

도시재생 사업소개

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으로 활성화
뉴딜사업 소개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류 2조)
도시 쇠퇴 지표
대상 지역의 인구 / 사업체 / 생활 환경과 관련해 5개 법정 지표를 기준으로 선정합니다.
  • 인구감소
    인구감소
    지난 30년 중 가장 많았던 시기에서 20% 이상 감소
    최근 5년간 3년 연속 감소
  • 사업체 수 감소
    사업체 수 감소
    지난 10년 중 가장 많았던 시기에 5% 이상 감소
    최근 5년간 3년 연속 감소
  • 생활환경 악화
    생활환경 악화
    20년 이상 노후건축물 50% 이상
도시재생 추진배경
종전의 택지개발 및 재개발 등과 같이 도시 및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맞춘 하향식 도시개발에서 벗어나 지역주민 참여를 통한 사람중심의 상향식개발로 도시민의 주거환경개선,
기반시설 정비 등 물리적 환경개선 뿐만 아니라 일자리·교육·보건·생활안전 등 지역주민의 관심사를 고민하는 방식의 사회·문화적 통합재생방식으로의 도시재생 차원의 패러다임으로 전환
도시관리에 있어 물리적 측면뿐 아니라 사회적·경제적 측면을 통합적이고 균형 있게 고려한 도시재생으로 인식 전환
도시재생뉴딜 목표
도시 쇠퇴에 대응하여 물리적 환경개선(하드웨어)과 주민들의 역량강화(소프트웨어)로 도시를 '종합 재생'하기 위한 뉴딜 사업 추진)
(노후 주거지의 환경 개선과 도시 경쟁력 회복 사업 중점 시행)
  • 주거복지 실현
    주거복지 실현
    노후주거비 정비
    공공임대 공급
  • 도시 경쟁력 실현
    도시 경쟁력 실현
    산업기능 회복
    상권 활성화
  • 사회 통합
    사회 통합
    공동체 재생
    주민 간 상생협력
  • 일자리 창출
    일자리 창출
    창업 지원
    주민주도 조직 육성
뉴딜사업 소개
주거 복지 실현 거주 환경이 열악한 노후 주거지를 정비하여 기초 생활 인프라를 확충하고, 저렴한 공적임대주택 공급
도시 경쟁력 회복 쇠퇴한 구도심에 혁신 거점 공간을 조성하고 도시기능을 재활성화 시켜 도시 경쟁력을 회복
사회 통합 주민참여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이익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고 소유주의 임차인, 사업주체와 주민 간 상생 유도
일자리 창출 업무, 상업 창업 등 다양한 일자리 공간을 제공하고, 도시재생 경제조직 등 지역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방문자 통계